일상에서

생활 꿀팁_남은 치약 활용법

onething-c 2025. 4. 20. 13:00
반응형

 
남은 치약은 어떻게 하시나요?
저는 모아뒀다가 화장실 청소에 사용하는데요 ^^
청소 이외에도 남은 치약을 알뜰하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치약은 주로 청소와 세척, 소독 등에 효과적인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합니다.
아래는 치약을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입니다.

1. 청소

  • 배수구 청소
  • : 배수구나 싱크대의 찌든 때를 제거할 때 치약을 사용해 보세요.
  • 치약의 연마 효과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줍니다.
  • 칫솔에 치약을 묻혀서 문지르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욕실 타일 청소
  • : 욕실 타일의 얼룩이나 때를 제거할 때 치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칫솔에 치약을 묻혀 타일의 틈새나 표면을 문지르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습니다.
  • 세면대나 변기 청소
  • : 세면대나 변기에서 발생하는 물때나 얼룩도 치약으로 깨끗하게 닦을 수 있습니다.
  • 치약을 묻혀 문지른 후 물로 헹궈주면 됩니다.

2. 세척

  • 스테인리스 제품 세척
  • : 스테인리스 식기나 주방 기구에서 발생한 얼룩이나 지문을 치약으로 닦으면 반짝임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 칫솔에 치약을 묻혀 부드럽게 닦아보세요.
  • 신발 세척: 흰색 운동화나 스니커즈의 때가 묻었을 때 치약을 이용해 문지르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습니다.
  • 치약을 묻혀 세척한 후에는 물로 잘 헹구어야 합니다.

3. 미세한 스크래치 제거

  • CD/DVD 스크래치 제거
  • : 오래된 CD나 DVD에서 스크래치로 인해 재생이 잘 되지 않을 때 치약을 사용해 스크래치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치약을 묻힌 천으로 부드럽게 문지른 후, 물로 깨끗이 닦아주면 효과적입니다.

4. 악취 제거

  • 냉장고 악취 제거
  • : 냉장고 안에서 나는 악취를 없애는 데 치약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치약을 약간 덜어 놓고 공기 중의 냄새를 흡수하게 하면 악취가 줄어듭니다.
  • 손에 묻은 냄새 제거
  • : 생선이나 마늘을 다룬 후 손에서 나는 냄새를 없애는 데 치약이 유용합니다.
  • 손에 치약을 묻혀 문지른 후 씻어내면 냄새가 제거됩니다.

5. 기타 활용법

  • 문지른 자국 지우기
  • : 벽이나 가구에 묻은 자국을 치약으로 지울 수 있습니다.
  • 치약을 소량 묻혀 부드러운 천으로 닦으면 자국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얼굴 각질 제거
  • : 치약에 약간의 물을 섞어 얼굴에 부드럽게 문지르면 각질 제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단, 너무 자주 사용하면 피부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이처럼 남은 치약을 활용하면 일상생활에서 여러 가지 유용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치약이 강한 화학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민감한 표면이나 피부에 사용할 때는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알쓸신잡

치약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치약은 주로 치아를 깨끗하게 하고 구강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개발된 위생용품입니다.
초기 치약은 고대 이집트와 그리스 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때는 분쇄한 동물 뼈, 조개껍데기, 나무숯, 허브 등을 섞어 만든 가루 형태의 치약이었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현대적인 치약의 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1873년, 콜게이트사가 상업용 튜브 치약을 처음 출시하였으며, 이후 다양한 성분이 첨가되어 현재와 같은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현대 치약은 크게 연마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향료, 방부제, 불소, 기타 기능성 성분 등으로 구성됩니다.
연마제는 치아 표면의 플라크와 착색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보습제는 치약이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합니다.
계면활성제는 거품을 생성하여 세정 효과를 높이고, 불소는 충치를 예방하는 주요 성분입니다.

이처럼 치약은 시대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점 더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왔으며, 구강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치약을 선택할때 고려해야하는 사항은

치약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은 자신의 구강 건강 상태와 필요에 맞는 기능입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불소 함량
— 충치 예방을 위해 불소가 포함된 치약을 선택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대부분 성인용 치약은 1000~1500ppm 정도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불소는 치아의 법랑질을 강화하고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구강 문제별 기능성
— 충치 예방용 : 불소 함유량이 중요.
— 잇몸 질환(치주염, 잇몸염증) : 항염 성분(예: 트리클로산, 클로르헥시딘, 시트르산 아연) 포함.
— 시린 이 : 민감성 치약 (질산칼륨, 아르기닌 등 포함).
— 미백 : 과산화수소나 연마제가 적절히 포함된 제품.


3. 자극 정도
— 민감하거나 잇몸이 약한 사람은 연마제가 너무 강한 치약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자극, 저연마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4. 특별 성분 여부
— 입 냄새 개선, 치석 제거, 입안 건조 방지 등 개인적인 필요에 맞는 부가 성분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5. 인증 및 안정성
—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증, 대한치과의사협회 추천 마크 등이 있는 제품은 기본적인 안정성과 효과가 검증된 경우가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치약은 “광고에서 유명해서”보다는 내 입속 환경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게 가장 현명합니다


반응형